설날 명절 제사상 차리는 법 쉽게 알려드립니다
내일부터 드디어 2024년 설날 연휴가 시작됩니다. 설날이나 한가위가 되면 해야 하는 차례상 해마다 하는데도 헛갈리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 그래서 오늘은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지역별 특색 있는 차례음식은 무엇이 있는지 조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사음식은 기본적으로 10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 집니다. 1. 밥 제사상에 올라가는 밥은 공기에 수북하게 담아야 합니다. 2. 국 제사상에 올라가는 국은 소와 무를 넣어서 만든 탕국을 올리며, 탕국에는 고춧가루와 마늘은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설에는 국과 함께 떡국도 함께 올리기도 합니다. 3. 떡 대체적으로 백설기나 고사떡등을 사용하지만, 추석에는 송편을 올리거나 집안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무지개떡처럼 화려한 떡은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제사 때 올리는 밥을 말합니다. 반, 제자 아니면 제찬이라고도 부르며, 흰쌀밥을 주발에 소복하게 담습니다. 설 차례상에는 밥 대신 떡국을 올립니다. 제사때 쓰이는 국을 갱이라고 부릅니다. 메탕 아니면 반탕이라고도 부릅니다. 보통 쇠고기, 무, 다시마를 넣고 맑게 끓여 국간장으로으로 간을 하고 갱기나 탕기에 담습니다. 추석 차례상에는 국을 생략하기도 합니다. 탕도 앞서 설명한 국과 같이 국물을 우려낸 제사용 음식을 말합니다.
다만, 앞서 설명한 갱은 밥 옆에 두는 국이기 때문에 국물까지 담아 밥 옆에 올리는 반면, 탕은 건더기만 건져 담아냅니다. 제사에는 보통 삼탕을 올리는데, 삼탕이란 육탕쇠고기탕과 어탕해산 물탕, 소탕두부탕 세 가지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육탕을 제사에 이용하는데요. 소의 여러 부위쇠머리사골도가니양지머리내장 등를 함께 섞거나 오직 푹 끓여 만듭니다. 편은 떡을 말합니다.
제사상 차리는 방법
제사상은 일반적으로 5열로 차립니다. 신위가 있는 쪽을 북쪽으로 본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이 제사상을 차립니다. 1열 밥, 국 등 식사류 2열 구이, 전 등 주요리 3열 부요리, 탕 등 4열 나물, 김치, 포 등 밑반찬류 5열 과일과 과자 등 후식 제주가 제사상을 바라보아 앞쪽이 북, 오른쪽을 동, 왼쪽을 서라 합니다.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색 과일은 서쪽으로 놓는다. 조율이시 좌측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차례대로 올립니다.
생동숙서 김치는 동쪽에, 나물은 서쪽에 놓는다. [左脯右醯:좌포우혜] 포는 좌측에, 식혜, 젓갈류는 오른쪽에 놓는다.
한국인의 소울푸드 하면 단연 비빔밥입니다. 심심하게 간을 한 나물에 흰 밥, 고추장, 3가지 이상의 나물, 그리고 계란 프라이와 참기를만 보태면 세상 그 어떤 진수성찬도 부럽지 않습니다. 비빔밥 한 그릇에 온 우주가 다. 들어있는 그런 맛입니다.
비빔밥 한 공기 먹으면 다른 반찬은 안 먹어도 되니, 한 끼 식사로 좋은 칼로리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여기에 고추장이나 김가루, 혹은 국은 함께 곁들인다면 열량은 더 증가할 것입니다.
제사상옷모양새 위치 배열
제사 음식을 모두 준비하였다면, 이제 제사상에 차려내야 하는데요. 어떠한 방식으로 담아내고 어떠한 방식으로 배치하며, 어떤 차례대로 올리는지 제사상차림에 에 대해 조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주가 제사상을 바라보았을 때 앞쪽이 북(北), 오른쪽을 동(東), 왼쪽을 서(西)라 합니다. 제사상의 기본은 5열 차림입니다. 제주가 있는 쪽이 5 열이며, 신위 방향은 1 열입니다. 1열에는 밥과 국, 2열은 구이와 전류, 3열에는 탕, 4열에는 나물, 김치, 포 5열에는 과일 등을 올립니다.
추석 간단한 제사상 상차림
요즘에는 차례 간소화를 많이 합니다. 현대사회 바쁜 일상, 특히 코로나 이후 친인척 가족들을 보기 힘들어졌기 때문에 소중한 명절기간 추석 제사상을 차리기 위해 성실히 일만 하는 것보다는 가족들 모두 앉아 서로 이야기도 나누고 유쾌한 시간들을 보내기 위해서입니다. 성균관 유교문화 활성단 사업단에서도 권하는 추석 간단한 제사상 상차림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아래 글과 제사상그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위 사진과 지방 사당이 없는 일반 가정에서는 지방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으나, 사진을 두고 제사를 지내도 괜찮습니다.
과일 놓는 방법 예법을 다룬 문헌에 홍동백서나 조율이시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편하게 놓으면 됩니다.
제사는 한국의 문화 문화 중 하나로, 조상을 기리고 존중하는 의식입니다. 제수와 제사상을 차리는 방법은 지역과 가정에 따라 다양하며, 각 가정의 상황과 선호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제사를 지내는 의미와 중요성은 모든 자택에서 공유되고 존중되는 가치있는 전통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제사상 차리는 방법
제사상은 일반적으로 5열로 차립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사상옷모양새 위치 배열
제사 음식을 모두 준비하였다면, 이제 제사상에 차려내야 하는데요.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석 간단한 제사상 상차림
요즘에는 차례 간소화를 많이 합니다. 더 알고싶으시면 본문을 클릭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