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전자계산기기능사 시험 일정 및 합격률 알아보기
하지만 전자계산기기 분야를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께서는 시험 자체가 어떠한 방법으로 진행이 되고 있는지 파악하지도 못했고, 어떠한 방법으로 시험을 대비해야 할지 막막하게 다가올 거입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기능사 시험을 준비하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시험이 어떤 식으로 진행이 되고 있는지 이야기를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먼저 필기시험 과목을 확인해 보면, 전기전자공학, 전자계산기 구조, 프로그래밍 일반, 디지털 공학으로 구분이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시험 방식은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60문항을 60분 동안 푸는 식으로 진행이 된다고 할 수 있죠. 수험생분들께서 필기시험을 준비할 때 가장 어려워하는 과목은 전기전자공학과목이라고 하며, 기출이슈를 풀어도 많이 헷갈린다는 평가가 많은 과목입니다.
명령 레지스터IR Instruction Register
CPU 내부에서 처리할 명령어나 연산의 중간 결과값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임시 기억 장소입니다.레지스터는 연산 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합니다. 레지스터에 새로운 데이터가 전송되면 기존에 있던 내용은 지워지고 새로운 내용만 기억됩니다.
실행중인 명령의 내용을 기억하는 레지스터입니다.
제어 장치의 구성요소 중 하나입니다.
전자계산기기기능사 실습 시험 과목 정보
실습 시험 과목은 전자계산기 구성회로의 조립, 조정 및 수리 작업으로 약 4시간 30분 동안 작업형으로 진행이 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습 시험장에 필요한 준비물납제거기, 계산기, 계산자휴대용, 송곳 삼각, 드라이버, 회로시험기 등을 갖고 시험장에 들어가서 응시하게 된다면, 먼저 시험지에 빈칸 혹은 틀린 부분이 있을 것입니다. 이같은 경우애 빈칸, 틀린 부분을 직접 수정해서 작동시켜야 하는 시험이며, 기판, 재료, 선, 납 등을 시험장에 구비되어 있으며, 완성시키지 못할 경우 실격을 달 할 수 있습니다.
필기시험 출제기준
필기시험과목은 총 5과목입니다. 과목당 20문항씩 총 100문제로 출제가 되고있습니다. 1. 전자계산기 프로그래밍20문항 프로그래밍의 이행, 프로그래밍 외국어 2. 자료구조 및 데이터통신20문항 3. 전자계산기구조20문항 연산 및 제어장치 기억장치와 입출력장치, 컴퓨터 구조의 응용 4. 운영체제20문항 운영체제의 이해, 운영체제 일반, 운영체제의 고급기능, 운영체제의 활용 5. 마이크로 전자계산기20문항 보편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억장치 및 입출력장치, 소프트웨어와 프로그래밍일반 시험과목은 정보처리 기사 시험과 거의 비슷하고 마이크로전자계산기만 생소한 과목인거 같습니다.
전자계산기기기능사 기록 합격률
먼저 필기시험 합격률을 보면, 2022년도에는 1,178명이 응시했고, 399명이 합격한 33.9의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절반 이하의 합격자를 의미하며, 아무리 기능사 시험이라도 꽤나 간단하지 않은 난이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필기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먼저 전자계산기기 이론을 먼저 공부하며, 무조건적으로 기출문제에 믿는 방식으로 공부를 하면 안 되다는 걸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시험 과목
필기시험의 시험과목은 전기전자공학, 전자계산기 구조, 프로그래밍 일반, 디지털 공학으로 총 4과목입니다. 또한, 실기시험은 전자계산기 구성회로의 조립, 조정 및 수리작업으로 총 2과목입니다.
필기시험: 전기전자공학은 10문항, 전자계산기 구조는 20문항, 프로그래밍 일반은 10문항 그리고 디지털 공학은 20문항으로 총 4개의 과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중 전기전자공학이 가장 어렵습니다.
실기시험 출제기준
실습 시험은 2019년 상반기까지만 해도 복합형으로 납땜 실습 과정이 포함되어 독하하기 어려운 시험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2019년 하반기 부터 100필답형으로 출제형식이 바뀌면서 실습형이 없어졌습니다. 하지만 필답형 문제가 기존 기출에서 출제가 안되는 문항수가 많아져 합격률이 낮아졌습니다. 실기시험 출제 주용 항목은 회로구성, 자료의 표현, 컴퓨터 시스템의 이해, 프로그램 개발, 유지보수 항목안에서 출제가 된다고 합니다.
합격기준은 절대 평가로 100점 만점 중 60이상이면 합격하실수 있고, 검정 수수료는 22,600원입니다. 2024년도에는 기사 1회차와 3회차 이렇게 두번 시행예정되었습니다. 3회차에는 필기시험만 예정되어 있기때문에 일정 확인하셔서 시험에 응시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2026년부터 전자계산기기사와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가 병합되어 컴퓨터시스템기사로 바꾸는 개정안이 나왔어요.
자주 묻는 질문
명령 레지스터IR Instruction
CPU 내부에서 처리할 명령어나 연산의 중간 결과값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임시 기억 장소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자계산기기기능사 실습 시험 과목
실습 시험 과목은 전자계산기 구성회로의 조립, 조정 및 수리 작업으로 약 4시간 30분 동안 작업형으로 진행이 되는 시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필기시험 출제기준
필기시험과목은 총 5과목입니다. 궁금한 사항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